고객을 만나면 이런 말을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풋프린트를 통해 정확하게 발모양을 측정할수 있습니까?" 그 궁금증을 풀어드리고자,,아래의 자료를 만들었습니다.. 발교정구란 발을 교정구에 맞추어 발을 교정하는 역할이다. 이런 경우에 입체적인(3차원) 족궁형을 파악할 필요가 없고, 평면적인(2차원)족형과 족궁을 알면 충분하다. 본사(알즈너)는 풋프린트에서 측정된 평면적인 족궁과 족형에 맞도록 가장 이상적이고도,표준적인 족궁 모양의 발교정구를 제공하여 발을 교정하게 된다. 타사에서는 평면 족장 대신에 석고나 소성 채움채로 발을 입체적으로 본뜨는 경우가 있다.. 이 방법은,, 1. 완충형 깔창이나 기능성 신발 제작에 적용된다. 2. 입체적인 모양은 오히려 족궁과 족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입체적인 모양을 다시 평면적 처리를 해야한다. 3. 각자의 입체적인 발 모양대로 깔창이나 밑창을 만들면 교정구라 할수 없다. 일시적으로는 발이 편하거나,발의 변형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수는 있지만, 현재의 발을 더 좋게 개선할 수는 없다. 대기업인 미국의 알즈너사에서는 컴퓨터 시대인 오늘날에도 여전히
풋프린트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이 방식이야말로 수동적이지만,
간편하고,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1. 족형을 파악하는 데 풋프린트 이상의 도구는 없다. 여타의 방법에 비하여 해상도가 가장 높은 측정 방법이다. 2. 스캐닝 방식으로 발사진을 찍을 경우 발의 발이 짓눌려서 발의 평면윤곽이 불확실해지는 단점이 있다. 정확한 족궁 파악에 제한. 3. 매트(mat)를 사용하는 경우, 압력을 측정하는 피코메타(압력계)를 매트에 설치하는데 제한을 받기 때문에,역시 해상도에 한계가 있다. 4. 석고나 소성 채움채는, 족궁과 족형을 파악하기 위해 다시 이를 평면적처리를 해야 한다. 5. 착용 후 고객의 발 모양이 개선되어 가는 모습을 단순하고 쉬운 재측정을 통하여 점검이 용이하다.여타의 방식은 간단하지 못해서 사후지원(아프터서비스) 이 어렵다. §§§----족형(발형태)/족궁(아치) 측정 방식들----§§§
|
|
'알즈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정구란 (0) | 2005.08.09 |
---|---|
7월12일 언론보도에 대한 광고 (0) | 2005.08.09 |
[스크랩] 왼쪽다리가 길고 왼쪽골반이 높을때의 병증 (0) | 2005.08.06 |
[스크랩] 오른쪽 다리가 길고 오른쪽이 올라갈 경우 (0) | 2005.08.06 |
[스크랩] 알즈너 교정구의 발 반사구를 통한 순환원리 (循環原理) (0) | 200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