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즈너

[스크랩] 알즈너 교정구의 발 반사구를 통한 순환원리 (循環原理)

거룩한씨 성동 2005. 8. 3. 22:00

알즈너 교정구의 발 반사구를 통한 순환원리 (循環原理)

우리의 신체는 혈관이 온몸을 종횡무진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이 혈관을 크게 구분하면 동맥, 정맥, 그리고 모세혈관입니다. ‘동맥’은 영양분과 산소를 운반하고 ‘정맥’은 노폐물과 탄산가스를 운반합니다. 그리고 ‘모세혈관’은 동맥이 운반한 산소와 영양분을 신체의 구석구석에 있는 세포에 건네주고, 노폐물과 탄산가스를 정맥을 통하여 운반합니다. 혈관이 인체의 나쁜 물질, (예를 들면 요산의 결정, 혈중농도 과다의 칼슘 등의 노폐물)의 침전에 의해 막힐 경우 모든 세포와 각 기관 각 부위의 정상적인 기능에도 장애를 미칩니다.

자신의 발바닥을 만지면 ‘굳어있는 부분’과 ‘딱딱한 부분’이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항상 발의 반사구를 만져보면 이 노폐물의 존재가 확인됩니다만 이것은 왜 생기는 것일까요? 각 기관과 부위에 질병이 생길 경우 그 ‘순환기능’에 반드시 나쁜 영향이 나타납니다.

그것은 노폐물이 각 장기의 반사구와 관련된 말초신경과 지구의 인력작용에 의해 발의 반사구에 싸이는 원인이 되고 그것과 대응하는 기관과 부위의 기능이 나빠지거나 또는 장기에 질병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발의 반사구를 적절하게 만지거나 자극하면 ‘혈액순환’이 좋아져서 모세혈관과 정맥을 통해서 노폐물이 옮겨져서 마침내 혈액을 여과하는 신장 등의 배설기관의 작용으로 체외로 배출됩니다. 그리고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는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여 각 기관의 활동을 정상화시킵니다.

알즈너 발 교정구는 유해물질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높인다. 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주제입니다. 그 이유는
1. 배설기관의 기능이 쇠약해지면, 신진대사의 결과로 나오는 노폐물과 유해물이 체외로 배설되지 않아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줍니다.
2. 배설기관의 활동이 나쁘면 이것과 관계된 질병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신장병, 방광염, 고혈압,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병, 그 밖의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배설기관의 기능을 강하게 하는 것’이 발 건강법의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입니다.
예로부터“발은 제2의 심장”이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심장에서 발끝까지 보내져 온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역할을 발바닥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신의 발을 사용하여 걷는다는 것은, 발바닥까지 온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발 반사구를 만지거나 자극을 주었을 때 발견되는 여러 가지 증상과 형태가 단지 노폐물이 쌓여 있는 것인지, 아니면 반사구와 관련된 기관과 부위의 질병인지 또는 이상 반응인지는 그 증상과 상태에 따라서 발 반사구에 나타나는 변화도 다릅니다.

따라서 알즈너 발 교정구는 발의 반사구에 적당한 자극을 주거나, 아치를 통한 펌프작용 등, 신경반사 작용과 혈액순환원리를 통해서, 직접 그 장기와 관련된 부위에 자극을 주는 것으로 각 기관과 장기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 자료 도움말: 발건강 예방 치유요법/ 국제약석한국지부.

출처 : 알즈너 오소틱스
글쓴이 : Victor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