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스크랩] 비타민C의 암에 대한 연구(Vitamin C Research – Tumor Study)

거룩한씨 성동 2012. 7. 6. 11:01

 


 비타민씨 비타민제 
//

비타민C - 암에 대한 연구/ Vitamin C Research – Tumor Study

일차적인 항암 작용 기전

비타민C(아스코르빈산)의 주된 항암 작용기전은 세포 내 과산화수소(H2O2)생성에 있다. 정상 세포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변환시키는 카타라제(catalase)를 암 세포보다 10-100배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정상 세포는 암 세포보다 더 잘 적응하게 된다.

Figure 1: VC가 암 세포에 대해 차별적인 세포독성을 갖는 기전.

비타민C의 여타 항암 작용 기전

§ 비타민C는 면역체계를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만드는 데 필수 적이다. -면역글로부린을 합성하고, 백혈구의 이동과 주화성을 향상시키고, 탐식 작용을 활성화 시키며 인터페론 생성을 증가시킨다.(역주)-주화성(走化性)- 생물이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여 운동하는 성질

§ 비타민C는 발암물질을 비활성화 시키는데 이는 산화효소들의 혼합 작용과 질산염 유발 발암 물질을 막아 줌으로써 이다.

§ 소변으로 소듐을 배출시킴으로써 암으로 인해 생긴 NA/K 불균형을 잡아준다.

§ 프로스타그란딘 2단계를 억제하여 암 세포 증상을 줄인다.

§ 암 억제 유전자 p53을 안정화 시켜 암 세포 증식을 줄인다.

Figure 2: 시험관 실험에서: 이전 연구에서 네 종류의 사람 암 세포에 대한 비타민C의 양에 대한 반응을 보여준다: Mia PaCa-2 (췌장암), SKMEL-28 (흑색종), SW-620 (대장암), 그리고 U-2-OS (골육종). 결과는 생존 가능한 세포를 반영한다. 400 mg/dL 농도에서 비타민C는 약 90% 이상의 암 세포를 죽인다.

Figure 3: 생쥐 흑색종에서 비타민C의 암 억제 효과. 비타민C 700 mg/kg ( 50g -70 kg 사람과 동일) 을 복부에 주 3 3주간 주사했더니 실험 종료 시점에 57% 암 억제가 보였다.

Figure 4: 비타민C가 육종 생쥐의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비타민C 700 mg/kg ( 50g -70 kg 사람과 동일)을 복부에 매일 64일 주사했다. 비타민C는 대조군에 비해 46%에서 수명을 연장시켰다.

건강한 사람에게 경구와 정맥으로 비타민C를 투여하면,

Figure 5: 경구 최대 허용량, 4시간 간격으로 매번 3g (하루 6) 주면, 예상되는 최대 혈장 비타민C농도는 220 μmol/L (3.87 mg/dL)이고, 50g 정맥주사에서는 13,400 μmol/L (235.84 mg/dL)이 약물생태학적으로 예측된다

IVC로 인한 소변의 비타민C 예상 최대 농도는 최대 경구 복용한 경우보다 140배 높다. 따라서, 비타민C경구 복용 대신 정맥 주사하는 것이 암 세포 살상하는 수준의 혈장농도에 이르게 하는 방법이다.

1 mmol/L = 1000 μmol/L = 17.6 mg/dL;
1 μmol/L = 0.0176 mg/dL; 1 mg/dL= 56.82 μmol/L.
혈장 비타민C 농도 수준은 비타민c정맥주사(IVC)에 의해 도달된다.

Figure 6: 서로 다른 양의 비타민C 주입 후 혈장 Vc 수치(Mean ± 2SD)

Vc 15g 주입 후 혈장 Vc 수치는 평균 100 mg/dL에 이를 수 있다. 65g이면 400 mg/dL에 이르는데 이는 암 세포를 죽이는데 충분하다.

IVC에 의한 암 환자의 혈장 비타민C 반응

§ 암 환자는 자주 혈장 비타민C수준이 정상보다 낮다. 우리 연구 중 하나에서 24명중 14명이 치료 전 아스코베이트 결핍상태이었고, 이중 10명은 혈장 비타민C가 검출되지 않았다.

§ 대부분, 암 환자의 혈장 비타민c수준은 IVC 1-2주에 거의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

Figure 7: 세 명의 암 환자에게 1분에 Vc 1g 주입 속도로 65g을 놓는 동안 혈장 비타민C의 수치를 보여줌. IVC 16회 한 뒤 보니 Vc300-700 mg/dL에 달했다.

임상례 1

1995 9, 52세의 한 백인 여성은 좌측 신장의 초기 암을 진단받은 직 후 신장적출술을 받았다. 조직검사 상 신장암으로 확진 되었다. 1996 9, 흉부 엑스레이 상 1-3cm 크기 혹 4개가 폐에서 발견되었다. 1개월 뒤에는 1-3cm 크기 혹이 우측 폐에 7, 좌측에 1, 8개가 되었다. 1996 10월 우리 병원에 와서 IVC치료를 받기 전에 그녀는 어떠한 새로운 약물치료나 방사선치료 그리고 수술도 받지 않았다.

처음에 15g으로 시작한 뒤 증량하여 65g2주 간 주 2회 주사하였다.

동시에, N-acetyl cysteine, 500 mg 경구 1 1/ beta-1,3- glucan (탐식세포 자극제), 2.5 mg 경구 11 3/fish oil (300 mg eicosatetraenoic acid, 200 mg docosahexaenoic acid), 경구 1 3/ vitamin C, 9 g 경구 1/ betacarotene, 25,000 lU. 경구 2/ L-threonine, 500 mg경구 1 (혈청검사로 결핍이 확인된 경우)/ Bacillus laterosporus, 280 mg, 경구 하루 1 2(Candida albicans 치료)/ inositol hexaniacinate complex (500 mg niacin, 100 mcg chromium) 경구 하루 1 2알 그리고 정제된 설탕을 사용하지 않은 식사를 시작하였다.

그녀는 1997 6월에 찍은 흉부 엑스레이 상에서 8개 혹 중 7개가 낫고 8번째는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밝혀질 때까지 IAA치료를 계속하였다. 의학적 영상 기록에 따르면, “이전에 우측 폐와 심장에 겹치는 부분에 보였던 결절 침윤소견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고, 좌측 폐에 보였던 것은 크기가 크게 감소해서 1cm 정도 어렴풋이 보일 뿐이었다.” 환자는 1972 6월에 IAA치료를 중단하였다. 그녀는 그 때까지 경구 영양 섭취 프로그램을 계속해 왔었는데 4년 뒤에도 악화된 징후가 보이지 않았다.

임상례 2

1985 12월에, 70 세 먹은 한 백인 남성에게 우측 신장 밑부분을 점유한 혹이 발견되었다. 근치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신장세포암으로 확진 되었다.

1986 3월에 이 환자가 우리 병원에 왔다. 처음에 주 2 30g부터 IVC를 시행하였다. 1986 4-엑스레이 및 CT 스캔 검사 6주 후에, 담당 암전문의의 보고는 다음과 같았다. “환자는 좋아 보인다. 검사 소견은 모두 정상이다. 흉부 엑스선 소견은 6주 전과 비교하여 폐 결절들이 극적으로 좋아졌다. 대동맥 주위 임프절 장애는 완전히 사라졌다. 이것이 바이러스성 폐질환과 동반된 림프절 장애가 나은 것인지 아니면 환자가 받은 비타민C치료에 반응하여 신장암 재발부위가 나은 것인지 간에.”

그 암전문의는 1996 7월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암이 악화된 어떤 소견도 없다. 그는 좋아 보이고, 폐 결절도 완전히 사라졌다. 오늘 현재 폐, , 림프절의 전이 소견은 전혀 볼 수 없다.”

1986년에 환자는 7개월 간 주 2 30g을 정맥주사 받았고, 이어서 8개월 간 주 1회로 줄여 맞았다. 추가로 6개얼 간 15g IAA주사를 맞았다. 환자는 계속 좋았고, 주기적으로 우리 병원에 왔으며 첫 진단 후 12년이 지난 1997년 초 암이 없는 상태에서 82세로 사망하였다.

임상례 3

병기 3C의 난소 유두선암(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ovary)을 앓고 있으며 첫 CA-125 999를 보인, 35세 여성이 비타민C 경구복용과 정맥주사요법과 더불어 항암화학치료 6사이클(paclitaxel, carboplatin)을 마치고 나서 수술을 받았다. 아스코베이트 주사는 15g씩 주 2회로 시작하여 60g 2회로 올렸다. 주사 중에 혈장 아스코베이트 수치가 200 mg/dL 이상이 되게 하였다. 6주 후부터 1년간 계속하였고 1년 후에는 매2주마다 한번으로 줄였다. 환자는 동시에 비타민E, 코엔자임Q10, 베타카로텐, 그리고 비타민A를 보조 복용하였다. 처음 진단 후 40개월이 지나고 비타민C정맥주사를 계속 맞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CT PET소견을 보니 병이 보이지 않았고, CA-125 수치도 정상이었다.

Figure 8: 24명의 말기암 환자에게 IVC한 연구에서 보면, 혈중 creatinine, BUN 그리고 uric acid 농도는 치료 도중 감소하거나 안정적이었는데, 이는 IVC가 신장 기능을 나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다른 혈액소견도 역시 IVC가 암 환자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리오단 센터에서 지난 30년 동안 IVC를 시행하여왔는데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 흔하게 보고된 부작용이란 구역질, 부종, 그리고 입과 피부의 건조 이었는데 대체로 미미한 것이었다.

§ 비록 많은 의사들이 비타민C고용량이 신장 결석을 일으킬지 모른다고 걱정하였지만, 이런 현상을 거의 보지 못했다. 신장 결석은 대부분 소변의 알칼리 상태에서 생기는데(calcium oxalate칼슘 옥살산), 비타민C를 고용량 주사하면 소변을 산성화시키고 오히려 결석 형성을 예방한다. 다양한 연구논문을 보면 아스코베이트가 신장 결석 형성의 리스크를 올린다는 어떠한 증거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신장 결석 병력이 있는 환자는 IVC 도중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글루코스-6-인산 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 결핍 환자에게는 고용량의 비타민C가 용혈 유발 리스크를 올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병원에서는 IVC 전에 항상 G6PD 결핍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

§ 비타민C는 철 흡수를 촉진시키므로 철분과다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아스코베이트는 킬레이팅 물질이어서 혈청 칼슘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떤 환자들은 몸이 떨리는 현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것은 글루콘산 칼슘(calcium gluconate) 10cc1분에 1cc 속도로 천천히 정맥 주입하면 치료가 된다.

§ IVC의 또 다른 주의점은 빠른 종양 출혈과 궤사이다. 이것은 처음에 소량으로 시작하면 피할 수 있다. 전형적인 프로토콜을 보면 다음으로 구성된다. 첫째 주: 15,25,50g 3회 주사(혈장 비타민C 검사하면서)/ 둘째 주와 그 이후:25g 이나 50g 3회 주사(혈장 비타민C 검사하면서)

주사 량은 주 3회 주사하면서 일시적인 혈장 농도가 400 mg/dL에 가깝게 되도록 차츰 맞추어지게 된다.

리오단클리닉

참고문헌

1. Michael J. Gonz‡lez et al: Orthomolecular Oncology Review: Ascorbic Acid and Cancer 25 years Later.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4(1); 2005 pp.32-44

2. Padayatty SJ: Vitamin C pharmacokinetics: implications for oral and intravenous use. Ann Intern Med. 2004 Apr 6;140(7):533-7.

3. Anthony et al, Br J Cancer 46 : 354, 1982

Cancer

4. Hugh D. Riordan et al: A Pilot Clinical Study of Continuous Intravenous Ascorbat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PR Health Sci J. 2005; 24(4):269-276.

5. Drisko JA, Chapman J, Hunter VJ. The use of antioxidants with first-line chemotherapy in two cases of ovarian cancer. Am J Coll Nutr 22: 118- 123 (2003).

* 닥터 소망이 번역하였음.

 

 

출처 : 함께더불어사는세상
글쓴이 : 이재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