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산성 식품 알카리성 식품

거룩한씨 성동 2009. 11. 26. 13:01
산성 식품 알카리성 식품

산성식품 알칼리성식품 그 정체가 궁금하다

 

우리 몸이 건강하려면 산성식품을 적게 먹고 알칼리성식품을 많이

먹으려고 들 한다.

일부에서는 산성식품을 반건강식품이라고 부르면서 알칼리성식품을

           건강식품이라고 부르고 있기도 하다.

       산성식품과 알칼리성식품 도대체 그 비밀은 무엇일까?

산성과 알칼리성은 그 맛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과일즙의 레몬, 석류는 먹으면 시큼하지만 알칼리성식품이다.

       또 팥밥, 국수류는 뚜렷한 맛 반응은 없지만 산성 식품이다.

       그러므로 미각의 반응과 식품의 본질적인 특성이 가진

       산성과 알칼리성의 구별은  완전히 별개다.

 

소위 산성식품은 인, 유황, 질소 등 원소가 비교적 많은 식품을

       가리킨다.

       음식이 우리 몸에 들어가 신진대사를 거치면 인산이나 유황산 등

         산성물질이 형성된다.

 

      아와 반대로 알칼리성 식품은 칼륨, 칼슘, 나트륨 등이 비교적

      많은 식품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동물성 식품은 산성에 속하고 채소, 과일 등은

      대부분 알칼리성 식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주로 알칼리성

      식품을 먹으면 많은 혈액을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몸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는사실이다.

 

       그런데 만약 육식, 계란, 술, 설탕 등 산성식품을 편식하면서

       알칼리성 식품을 보충하지 않는다면 산성체질로 바뀌면서

        우리 몸에는 각종 좋지 못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 산성체질은 피로하기 쉽고 통풍에 직결된다

 

      산성체질은 만병의 근원이라 늘 피로하고 정신이 위축된다.

      사지의 힘이 빠지고 사고력이 둔해지고 위산 과다에 충치도

       잘 생긴다.

      특히 중년이 되면 통풍,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성인병에 걸린다.

 

       실험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요산은 알카리성

     액체 속에서는 쉽게 녹아 용해되어 몸 밖으로 쉽게 배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산성 액체 속에 넣으면 점차 침전되는 데 이것이

바로 통풍 환자가 산성 식품을 먹으면 병세가 곧 심해지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인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산성 식품을 먹은뒤 요를

측정해 보면 산, 알칼리성이 PH5.0 정도가 된다. 만일 알칼리성

 식품을 많이 먹으면 산, 알칼리성 수치가 PH6.5가량으로

올라가는데 이는 곧 요산이 낮아져서 중성에 가까운

 정도가 된 것이다.

 

영국의 영양생리학자인 아나카밍그 박사는 “식품 중의

알칼리성 물질(즉 칼슘)은 흥분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어

부부간의 다툼을 줄이고 청소년의 범죄 예방과 치료를

돕는다.”라고 밝히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산성과 알칼리성

 식품은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산성식품

 

육류, 계란 노른자, 오곡, 밀가루와 밀가루 제품, 옥수수,

 청주, 맥주, 땅콩, 설탕, 버터, 누에콩, 완두콩 등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

 

미역(알칼리성 식품의 왕이다), 채소, 우유, 과일, 레몬, 매실,

 무, 계란흰자, 양파, 감귤, 다래, 바나나,

사과, 포도, 오이, 가지, 감, 양배추, 감자, 고구마, 강낭콩 등

 

 

◈ 알칼리성식품 매실, 레몬은 긴장, 스트레스 말끔히 해소 ◈

 

그러므로 마라톤 경기에 참가한 뒤 레몬 한 조각을 물거나,

강연하기 전에 매실을 입안에

물고 있으면 마음을 편안히 하고 긴장을 해소하는 작용이 있다.

어떤 사람은 임신부가 갑자기 매실, 감귤 등을 좋아하게 되면

이 역시 임신이 사람을 정신적으로 긴장케 하는데

신맛과 알칼리성이 완화시키게 된다고 했다.

 

이와 비슷한 작용을 일상생활에 널리 응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위산이 많아졌으면 매실을 먹어 균형을 이루면 된다.

과음, 과식했거나 배를 찬 공기에 쐬면서 유발한 설사 때

매실을 3~4회 먹으면 낫는다.

 

격렬한 운동을 한 뒤에는 에너지 대사가 왕성하므로 젖산이

대량으로 생성되고 혈액 속에 녹아 들어가서 혈액을 산성이 되게 한다.

 

혈액은 정상적인 상황 아래서는 PH 수치가 7.2~7.4 사이에 있으며,

약 알칼리성을 띠고 있다.

그런데 일단 어떤 원인으로 산화가 되면 심장기능이 약해지므로

 몸이 쉽게 피로해진다.

 

이때 레몬을 먹으면 레몬의 알칼리성이 산성을 중화해 혈액을

건강한 약 알칼리 상태로 유지하므로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이것과 반대쪽에 있는 것은 설탕이다. 일단 너무 많이

섭취하면 틀림없이 칼슘과 충돌을 일으켜 균형을 파괴하고

우리 신체를 약 산성상태가 되게 하여 면역력을 떨어뜨린다.

 

아무튼 인체 건강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침은

모자람보다 못하다. 예를 들어 다리나 빌딩이 일단 균형을

잃으면 곧 기울고 허물어진다. 몸의 산성과 알칼리성도

균형을 잃으면 질병이 그 틈을 노려 들어오게 되므로

각별히 경계해야 한다.

 

〈이 자료는 2009년도 ‘건강다이제스트’8월 호에서 인용됨